동문동정

  • 커뮤니티
  • 동문동정
  • 본 사이트는 대한민국 저작권법을 준수합니다.
  • 회원은 공공질서나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과 타인의 저작권을 포함한 지적재산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물에 대하여는 등록할 수 없으며, 만일 이와 같 은 내용의 게시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은 회원 본인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하여 주민번호, 휴대폰번호, 집주소, 혈액형, 직업 등의 게시나 등록을 금지합니다.

제목

[광남초대석] 김원욱(37회) 전 광주영어방송 사장
작성자일고지기 작성일2016/05/13 13:17 조회수: 2,217 첨부(1)

[광남초대석] 김원욱(37회) 전 광주영어방송 사장


[광남초대석] 김원욱(37) 전 광주영어방송 사장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光州 언론인' 45"기자는 정론직필 해야"


5·18 당시 군부 언론 검열 항의 제작 거부연대 사표도


지역 최초 여론조사 시행·부군수제 정책 도입 제안 성과


언론 인생 정리한 저서 출간지방신문 '육성방안' 제시



김원욱 전 광주영어방송 사장은 지난 45년간 현장을 누비던 기자로 활동했다.


 


호남정유 저장탱크 폭발사고와 같은 사건 사고 현장에서부터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수백 편의 기획기사까지 그가 취재하며 쏟아냈던 모든 기록은 광주·전남지역 발전사에 남아있다.


 


지역 여론조사 최초 실시, 부군수제 도입, 왕인박사 출생지 고증 등 그가 과감히 써내려갔던 글은 최초라는 타이틀을 달게 됐고, 이후 많은 후배 언론인들의 귀감이 되고 있다.


 


화려했던 과거를 뒤로한 채 현재 야인에 머무르고 있는 김 전 사장을 만나 수 십 년 간 이어온 기사생활에 대한 소회와 지역사회의 현안 및 앞으로 언론이 나아가야 할 방향 등에 대해 들어봤다. <편집자 주>


 


"5·18 당시 광주시민에 대한 신군부의 무자비한 폭압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 역사의 장면을 그대로 기록하는 소명에도 그렇지 못했던 한이 지금도 가슴 한 켠을 먹먹하게 한다."


 


현재 칠순을 넘긴 백발의 노인이 된 김원욱(72) 전 광주영어방송 사장은 과거 45년간 광주·전남을 종횡무진하며 역사를 기록하는 기자였다.


 


호남정유 저장탱크 폭발사고와 같은 굵직한 사건 사고 현장에서부터 지역사회 협력 캠페인까지 그의 취재보도 목록에는 광주와 전남의 역사가 고스란히 묻어있다.


 


특히 수많은 기사보도 중에서도 5·18 민주화운동은 그의 기자인생에서 아쉬움과 함께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그런 현장이다.


 


김 전 사장을 포함한 옛 전남매일신문(현 광주일보) 전체 기자들은 5·18이 나기 전, 신군부의 움직임이 국민의 뜻과 점점 멀어지고 언론에 대한 간섭이 심해지자 19805월 초에서 부장부터 평기자까지 참석한 회의를 매일 열어 대응책 마련에 고심했다.


 


이후 역사적 그날인 1980518민주주의회복’, ‘전두환일당의 군부퇴진등을 요구하는 학생과 시민 등이 대거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당국은 이런 상황을 폭도들에 의한 광주사태라고 매도했다.


 


김 전 사장은 "전두환 일당은 선량한 시위 군중을 폭도로 매도하고 총, 대검, 곤봉 등으로 무장한 공수부대를 앞세워 잔인하게 진압했다""곤봉으로 인정사정없이 내려치고, 대검으로 찌르며 (시민들을) 연행해가는 만행을 스스럼없이 행했다"고 떠올렸다.


 


시민을 대상으로 무자비한 폭력과 탄압이 이어졌지만 김 전 사장을 비롯한 현장을 지켜봤던 많은 기자들은 이런 상황에 대한 기사를 단 한 줄도 싣지 못했다.


 


비상계엄과 보안대의 언론검열 때문이었다.


 


언론의 사명은 사실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이지만 당시 광주의 신문과 방송은 언론으로서의 사명과 제 기능을 할 수가 없었다.


 


이는 전국의 언론사가 마찬가지였다.


 


결국 기자로서의 소명을 다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김 전 사장이 소속한 전남매일신문은 1980521일부터 신문제작을 중단했고 부장, 차장, 기자 등 전체 직원들 역시 일제히 연대 사표를 제출했다.


 


이후 제작중단 10일만인 62일 다시 제작이 시작됐다.


 


하지만 제작에 앞서 편집국 내부는 고심에 휩싸였다.


 


당시 편집국 내부에서는 당국의 지침을 따르자는 의견과 사실대로 기사화를 하자는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진통을 거듭한 끝에 제작거부 이후 첫 발행된 신문은 당초 8면이 아닌 4면으로 제작하면서 1면에 기사가 아닌 김준태 시인(당시 전남고 교사)의 시 ! 광주여, 우리나라의 십자가여한 편을 게재했다.


 


시는 여러가지로 함축적인 의미를 담는 동시에 기사보다 검열을 피할 수 있을 것 같다는 복안에서였다.


 


하지만 보안대의 검열에서 당초 108행의 시가 32행으로 깎였고 제목 역시 ! 광주여만 남게됐다.


 


김 전 사장은 "기자들이 검열 당시 단어 한 자, 토씨 한 글자라도 살려보려고 노력했지만 허사였다""하지만 광주의 한을 담고 있는 시에 독자들은 반응했고 서울, 부산, 대구 등지에서 신문을 보내달라는 요청이 쇄도해 밤 늦게까지 윤전기를 돌려야 했다"고 전했다.


 


이 같은 언론사의 용단으로 전국의 많은 사람들이 당시의 광주의 상황을 알게 됐지만 김 전 사장 개인은 강제해직이라는 아픔을 맛봐야 했다.


 


그가 신문제작 거부 및 광주의 상황을 전 국민과 세계에 알리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이유에서였다.


 


이후 김대중 정부들어 진행된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을 통해 김 전 사장은 명예회복증서를 수여 받았고, 지난 2014년엔 광주 오월 어머니회로부터 오월 어머니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현재 지역에서 김 전 사장이 최초로 시행한 열매들이 꽃을 피우고 있다.


 


그는 지역 최초로 여론 조사문화의 첫 문을 열었다.


 


19683월 김 전 사장은 전남대, 조선대, 교육대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상아탑 속의 가치관이라는 여론조사를 실시한 뒤 2회에 걸쳐 보도했다.


 


이는 ()한국사회조사 연구소의 조사로 지역에서 최초로 이뤄진 여론조사로 기록됐다.


 


19746월엔 전국에서 처음으로 부군수제를 신설하자는 기사를 보도해 내무부가 전국적으로 부군수제를 신설하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19769월 예향으로 불리는 광주·전남에 예술회관이 없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광주에 예술회관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기사로 제안해 남도예술회관 건립의 초석을 마련했다.


 


영암 왕인박사 출생지 고증(1973), 서독프로축구팀 광주 초청(1979), 장성 축령산 편백림 공유화 제안(2001) 등 역시 그가 최초로 보도해 현재 결실을 맺었거나 한창인 사업들 중 하나다.


 


그는 지역사회를 살리기 위한 기획기사 작성에도 매진했다.


 


19946월 우리밀살리기운동본부 광주전남협의회가 진행한 우리밀을 살립시다캠페인에 맞춰 진행된 15차례의 기획기사 연재로 29600만원 상당의 성금이 모금되는 쾌거를 달성했다.


 


또 이듬해에는 광주의 첨단산업 발전을 이끌어 갈 광주과학기술원이 개원을 앞두고 조경 예산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져 3개월 동안 광주과학기술원 푸르게 만듭시다라는 주제로 캠페인과 기획기사를 쏟아내 헌수금 8000여 만원, 묘목 1만그루, 조경석 2000t 등을 전달했다.


 


이외에도 지역의 명산인 무등산의 정상복원을 위한 캠페인 기사(20), 삼학도 복원(15) 등 그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그가 연재한 기획기사들이 숱하다.


 


현재 김 전 사장은 20123월을 기점으로 45년간의 기자생활을 마감했지만 여전히 지역의 현안에 관심이 높다.


 


그는 지역의 가장 큰 문제로 고립화 현상을 꼽았다.


 


김 전 사장은 "현재 광주·전남은 지역 균등발전에서 철저하게 고립돼 있는 상황이다""향후 세대들이 이 같은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정부 주도의 산업 유치와 함께 지역민의 정치의식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자신이 수 십 년 간 몸담았던 지역 언론계에 대한 앞으로의 비전도 제시했다.


 


그는 또 "해를 거듭할수록 지역 신문의 여건이 어려워지면서 지역 언론의 미래인 젊은 인재들이 떠나고 있는 게 현실이다""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광주시·전남도와 각 의회는 한국기자협회에 가입된 광주·전남의 7개 지방신문에 대한 육성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방신문이 지역발전의 여러 방안을 제시하고 선도하는 등 공공재로써 많은 공헌을 해왔음에도 신문이 너무 많다는 단순한 논리로 그 가치의 중대함을 평가절하 하는 것은 올바르지 못하다""시와 도는 지방신문 육성 방안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통해 필요성이 인정될 경우 자금지원이나 기금재단 설립 등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후배 언론인에 대한 당부도 이어졌다.


 


김 전 사장은 "5·18 당시 당국의 서슬 퍼런 검열 탓에 광주의 참상을 지면에 싣지 못했던 것이 한으로 남는다""후배 기자들은 어떤 악조건에 부딪히더라도 기자의 소명인 정론직필을 잊지 말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광남일보 2016. 05.08() >

덧글 ()


연번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파일
1059 <김성(47회)의 관풍(觀風)> 3자녀 이상 가구에 都農 2주택을 .. (0) 운영자 2021/11/26 1,102  
1058 <김성(47회)의 관풍(觀風)> ‘피끓는 학생’‘오직 바른 길’.. (0) 운영자 2021/11/12 1,185 김성(47회).jpg 다운로드
1057 초대 광주복지연구원장에 동신대 김만수(52회) 교수 임명 (0) 운영자 2021/09/27 1,263 김만수.jpg 다운로드
1056 전라남도문화재단 제3대 대표이사에 김선출(51회) 동문 임명.. (0) 운영자 2021/08/12 1,315 김선출(51회).jpg 다운로드
1055 전남문화재단 대표이사에 김선출(51회) 동문 선임 (0) 운영자 2021/07/21 1,322 김선출(51회).jpg 다운로드
1054 2021 도쿄올림픽 야구 국가대표 선발 - 허경민(84회), 이의리.. (0) 운영자 2021/06/16 1,389  
1053 “차세대 에이스” 국가대표 유일한 KIA맨 ‘조커’ 이의리.. (0) 운영자 2021/06/16 1,423 이의리.jpg 다운로드
1052 이낙연(45회) '약속' 발간 (0) 운영자 2021/06/04 1,348  
1051 노형욱(56회) 국토 장관의 3가지 키워드 (0) 운영자 2021/05/17 1,399 노형욱(56회).jpg 다운로드
1050 금호타이어, 정일택(57회) 신임 대표이사 선임 (0) 운영자 2021/03/23 1,600 정일택(57회).jpg 다운로드
1049 이병훈(50회) 의원, 민주당 선정 '국정감사 우수의원상' (0) 운영자 2020/12/21 1,662 이병훈(50회).jpg 다운로드
1048 금융계 쥐락펴락 행시27회 전성시대…'반민반관' 김광수(51.. (0) 운영자 2020/11/25 1,904 김관수(51회).jpg 다운로드
1047 안영근(58회) 동문 전남대학교 병원장 취임 - 11. 20(금) (0) 운영자 2020/11/20 1,671  
1046 교직원공제회 이사장에 김상곤(43회) 전 교육부장관 (0) 운영자 2020/11/13 1,541 김상곤회장님.jpg 다운로드
1045 이병훈(50회) “남광주시장·조대 장미의거리 특화 육성” (0) 운영자 2020/09/16 1,850 이병훈(50회).jpg 다운로드
1044 전남대병원장 후보에 안영근(58회)·김윤하 교수 선정 (0) 운영자 2020/09/16 1,909 안영근(58회).jpg 다운로드

맨처음이전 5페이지678910다음 5페이지마지막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