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사이트는 대한민국 저작권법을 준수합니다.
- 회원은 공공질서나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과 타인의 저작권을 포함한 지적재산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물에 대하여는 등록할 수 없으며, 만일 이와 같 은 내용의 게시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은 회원 본인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하여 주민번호, 휴대폰번호, 집주소, 혈액형, 직업 등의 게시나 등록을 금지합니다.
제목 11월3일 '학생의 날'을 다시 생각한다
작성자최원일
작성일2009/11/03 00:12
조회수: 1,900
|
|
---|---|
*지난 3월3일 이난에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정신적지주이신 운인 송홍선생의 공적을 기리는 훈장을 국가에 상신했다는 글을 올린바 있습니다. 그에대한 후신이 필요할 시점이기에 다시 올립니다. 11월3일, 이 날은 지금으로부터 만 80년전 광주학생독립운동이 일어난 날이다. 3.1독립만세 사건후 꼭10년만에 터진 대사건이었다. 일제 식민정책에 항거하여 먼저 광주에서 수많은 학생들이 들고 일어났고 그 기세가 서울을 비롯한 전국으로 확산됐다. 일제의 간담을 써늘케 하고 우리 민족의 기상을 세계만방에 알린 위대한 민족운동이었고 이 나라 학생운동의 뿌리가 되는 대단한 사건이었다.
우리 민족사에 영원히 잊지못할 이러한 대사건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점차 잊혀져 이제는 학생운동의 발상지인 광주제일고 (광주고보)와 관계자들 및 광주광역시 일원만의 조촐한 기념식과 기념행사로 끝나는 감이 있어 안타깝다. 학생의 날 기념식이나 행사도 서울에서 발행되는 일반신문이나 포털사이트가 별로 다루지 않고 넘어가는 경향이다. 이래서는 않된다.
이 나라의 미래를 짊어지고 나갈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민족혼을 깨우쳐 주고 선열들의 나라사랑하는 마음과 고귀한 희생정신을 가르치는 것은 우리 어른들의 의무가 아닐수 없다. 그런데도 우리는 이러한 당연한 의무를 저버리고도 전혀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는다. 이건 큰 문제다. 시급히 고쳐야만 어른된 도리를 다하는것이라 본다.
저는 광주학생독립운동에 관심이 높다. 학생운동과 각별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학생독립운동의 발상지가 된 그 학교를 다녔다. 학생독립운동의 상징인 학생탑앞엔 제 외증조부께서 오늘도 민족혼이 살아 숨쉬는 그 땅과 학생탑을 지키고 계신다. 학생탑 전면엔 "우리는 피끓는 학생이다 오직 바른 길 만이 우리의 생명이다"라는 초대 대통령 이승만박사의 친필글씨가 새겨져 있다. 대통령이 될때까지 평생 독립운동에 몸받치신 대통령이 큰 관심을 갖고 가꿔주신 학생탑에 스며 있는 선열들의 고귀한 뜻과 희생정신을 오늘에 되 살릴 수는 없는 것인가?
중고시절 교문을 드나 들 때마다 읽고 느낀 게 있어 50년이 지난 지금도 그말을 잊지않고 기억하고있다. 과거 독재정권때는 정치권에 대한 젊은 학생들의 저항을 비켜 가자는 얄팍한 생각에서 학생의 날을 의식적으로 폄하하고 푸대접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하지만 민주화가 성숙한 오늘에도 광주학생독립운동의 거룩한 정신이 한 지역만의 단촐한 행사로 그치는것 같아 몹시 안타깝다.
학생독립운동의 정신적 지주 운인 송 홍 선생
광주학생독립운동과 떼놓을수 없는 분이 제 외증조부님이신 운인(雲人) 송 홍(宋 鴻) 선생이다. 학생의 날을 맞아 그분의 행적과 그분이 학생독립운동에 끼친 영향에 대해 많은 분들께 알려 드리는 게 후손된 도리라 생각돼 이글을 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