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한마디

  • 커뮤니티
  • 나도한마디
  • 본 사이트는 대한민국 저작권법을 준수합니다.
  • 회원은 공공질서나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과 타인의 저작권을 포함한 지적재산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물에 대하여는 등록할 수 없으며, 만일 이와 같 은 내용의 게시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은 회원 본인에게 있습니다.
  •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하여 주민번호, 휴대폰번호, 집주소, 혈액형, 직업 등의 게시나 등록을 금지합니다.

제목

여성 탈장 원인과 치료법-김신곤(37회) 상무병원 외과 명예원장
작성자일고지기 작성일2009/12/15 10:12 조회수: 3,152


여성 탈장 원인과 치료법

근육 노화로 복벽 약해져 발생
허벅지 안쪽 멍울 잡히면 위험










김신곤 명예원장

유방, 자궁, 난소 등 여성에게만 존재하는 장기에 생기는 병은 당연히 여성의 전유물이다.

그러나 유방암은 유방 흔적만 남아있는 남성에게도 드물게 발생한다. 반대로 고환이나 전립선 질환은 남자에게만 있는 병이 된다.

목의 앞면에 위치하는 갑상선은 남녀 모두에게 존재하여 우리 몸의 신진대사에 관여하지만 갑상선 질환은 여성에 단연 많다. 반대로 폐암이나 위암은 남성에게 더 많다. 남녀 성의 차이에 따른 질병발생도 흥미로운 점이 많다.

일반적으로 탈장하면 남성만의 병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일부지만 여성들에게도 탈장은 발생한다. 하지만 환자 본인은 물론 의사들도 눈여겨보지 않으면 발견하기 어렵다.

여성이 직접 탈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허벅지 안쪽에 눈에 보일 정도나 손에 잡힐 정도의 몽우리가 생긴다는 것이다. 증상 발견 즉시 병원에서 수술을 해야 하며, 방치시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사타구니에 생기는 서혜부 탈장(샅굴 탈장)은 7∼8배 정도로 단연 남자에 많다. 얼른 생각하면 복벽(뱃가죽)이 약해져서 튀어나오는 이 질환은 남녀 차이가 없을 듯이 보인다. 그러나 왜 이렇게 차이가 날까. 자세히 살펴보면 남녀 간의 태생기의 발달, 눈에 보이지 않은 내부 해부 구조, 그리고 임신 여부 등의 차이가 결국 질병 발생율의 차이를 만드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통합해서 서혜부 탈장이라고 부르는 이 질환에는 간접형, 직접형, 대퇴형의 세 가지 질환의 복합체이다. 병의 증상이나 합병증에 각각 차이가 다소 있으나 수술접근 방법이나 치료수술 술식이 유사해서 같이 혼용해서 흔히 쓰이고 있다.

영유아기에 자주 보는 서혜부 탈장은 거의 간접형이고 일종의 선천적 기형이라 할 수 있다. 태생 기에 후복막에서 생긴 고환이 점차 하강하면서, 여기에 붙어있는 복막이 칼집돌기라는 깔때기 모양의 구조물로 고환에 딸리어서 형성된다. 대부분 출생 후 이 구조물은 자연 폐쇄되지만 일부에서는 원인 모르게 그대로 남아서 탈장을 나타낸다.

고환이 없는 여아에서는 당연히 이 탈장이 드물다. 그러나 여자에서도 원인대라는 유사 구조물이 같은 장소에 만들어 지면서 간접형 탈장이 발생은 하는 것이다. 성인이 되어서도 약해진 이 부위를 통해 간접형 탈장이 발생한다. 임신 중에도 가끔 보게 된다.

직접형 서혜부 탈장은 간접형 보다 내측에 발생하나 대개 후천적이다. 나이가 많아지면서 뱃가죽이 약해져서 앞으로 튀어나와 생긴다. 간이 나빠 복수가 차거나 만성으로 기침하거나 아랫배에 힘을 많이 쓰는 직업에서 더 호발한다. 이는 정관 구조물이라는 흐늘거리는 기관이 남성 복벽의 아래 끝을 점하고 있어 체질적으로 이 부위가 연약하게 되어있기 때문이다. 이 구조물이 없는 여성은 복벽이 단단한 근육으로 모두 이루어졌기 때문에 직접형 탈장이 매우 드문 것이다.

대퇴(넙다리) 탈장은 유일하게 여자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는 탈장이지만 비교적 드물다. 골반과 하지 경계 부위에 혈관이 지나가면서 그 내측에 대퇴관이라 칭하는 조그만 구멍이 있다. 여자가 임신하고 나이가 들면서 골반이 커지고 따라서 이 구멍도 커지나 지탱하던 조직들은 약해지면서 이 구멍을 통해 튀어 나오는 것이 대퇴 탈장이다. 해부학적 구멍 직경이 비교적 작고 따라서 발생율도 적어 환자 자신이나 심지어 의사들도 간과하기 쉬운 탈장이다. 근 반수에서 장 폐색증 증상으로 응급실을 찾아 거기에서 처음 진단된다. 작지만 더 매운 고추 같은 병이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면 간접형 탈장이 여자에게서도 가장 많이 보는 형태이다.

〈김신곤(37회) 상무병원 외과 명예원장〉

< 광주일보 2009. 12. 15(화) >


덧글 ()


연번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파일
95 이로도리에서의 질의 응답 - 고현석(36회) 전 곡성군수 (0) 일고지기 2010/11/08 2,161  
94 양림동의 생태와 근대문화 어메니티-우제길(36회) 우제길미.. (0) 일고지기 2010/10/01 2,019  
93 다산의 정신 되새기며 - 송광운(48회) 북구청장 (0) 일고지기 2010/01/25 1,854  
92 길이 끝나는 곳에서 등산은 시작된다 - 김장환(31회) 전 전남.. (0) 일고지기 2010/01/21 2,137  
91 광주 경제 재도약을 위한 제언 - 전영복(35회) 한국 광산업진.. (0) 일고지기 2010/01/20 1,901  
90 저출산은 국가의 위기다-허정(45회) 에덴병원장 (0) 일고지기 2010/01/07 1,833  
89 백호의 기상으로 희망찬 새해 설계를 - 문인(52회) 광주시 자.. (0) 일고지기 2010/01/05 2,036  
88 법집행기관과 문화 예술-임내현(46회) 광주지방변호사회 변.. (0) 일고지기 2010/01/04 1,907  
87 신종플루의 교훈-김신곤(37회) 상무병원 외과 명예원장 (0) 일고지기 2009/12/28 1,951  
86 현재 보고 있는 게시글여성 탈장 원인과 치료법-김신곤(37회) 상무병원 외과 명예.. (0) 일고지기 2009/12/15 3,152  
85 광주시 청렴도 1위와 한국부패인식지수-임내현(46회) 변호사.. (0) 일고지기 2009/12/11 1,928  
84 ‘희망의 바이러스’ 나눔과 상생-송광운(48회) 북구청장 (0) 일고지기 2009/12/10 1,985  
83 내년 나라살림 걱정된다-조영택(44회) 국회의원 (0) 일고지기 2009/12/08 1,759  
82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임명재(60회) 약사 (0) 일고지기 2009/12/02 2,112  
81 거리에서 향유하는 예술 - 우제길(36회) 우제길미술관 관장 (0) 일고지기 2009/11/26 1,876  
80 나눔과 실천의 훈훈한 사회를-문인(52회) 광주시 자치행정국.. (0) 일고지기 2009/11/25 1,901  

맨처음이전 5페이지12345다음 5페이지마지막


  •  
  •  
  •  
  •